Social
SK에코엔지니어링은 '협력회사 행동 규칙'을 제정하여 공급망 내에서 발생가능한 리스크를 예방하고, 협력회사의 지속가능경영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협력회사 행동규칙은 세계인권선언, UN Global Compact 10대 원칙, 국제노동기구의 ‘노동에서의 기본적 원칙과 권리에 관한 ILO선언’ 등과 같은 글로벌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수립되었으며, 인권, 노동, 안전, 보건, 환경, 기업윤리, 합법적 원자재 취득 등 영역별 세부 기준을 제시하여 협력회사가 지속가능경영 실행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2022년부터는 Biz. Partner 등록 시 ‘협력회사 행동규칙 협약 시스템’을 구축하여 Biz Partner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있습니다.
SK에코엔지니어링은 정부공인녹색인증 제품에 해당하는 레미콘, 철근, 형강 등 ‘22년~’23년 누적 약 429억원 규모의 친환경 구매를 실천 중입니다.
SK에코엔지니어링은 더욱 높아지는 환경에 대한 관심에 대응하고자 New BM에 적용되는 친환경 제품도 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공급망의 다양성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구분 | 단위 | 2022년 | 2023년 |
---|---|---|---|
정부공인 녹색인증 구매 실적 합계 | 억원 | 156.9 | 271.8 |
1) 저탄소 제품 | 30.6 | 106.8 | |
2) 우수재활용 제품 | 126.3 | 165 |
SK에코엔지니어링은 윤리적이고 지속가능한 광물 조달을 위해 협력회사 행동 규칙에 ‘분쟁광물 사용금지’를 명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Biz Partner에게 광물 조달 과정 전반에 걸친 정책 수립, 실사 등의 활동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SK에코엔지니어링은 SK에코플랜트와 공동으로 Biz. Partner의 ESG 경영 수준을 높이고자 ‘Biz. Partner ESG 개선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Biz. Partner가 ‘Biz. Partner ESG 개선 지원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평가 비용을 지원하고 있으며, 평가 등급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핵심 Biz. Partner, 신규 등록 Biz. Partner 등을 대상으로 ESG 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평가 결과 ESG 경영 수준이 미흡한 Biz. Partner를 대상으로 매년 개선 현황을 관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평가결과 도출 이후에도 평가 이후 각 협력사별로 도출된 개선 과제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Value-up 프로그램을 통해 ESG 정책·조직·교육 운영 전반에서의 개선 조치 과정을 지원합니다.
SK에코엔지니어링은 SK에코플랜트와 함께 핵심 Biz. Partner를 대상으로 연 1회 ESG 평가를 권장하고 있으며, 집중관리 대상 Biz. Partner는 매년 개선 현황을 관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2023년에는 환경·사회·지배구조 영역 내 평가요소를 기준으로 200개 Biz. Partner를 대상으로 ESG 평가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집중관리 대상 Biz. Partner는 30개로 평가되었습니다.
Value-up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ESG 정책, 조직, 교육 운영 전반에 걸쳐 개선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ESG 정보 전달을 위해 ESG 정보 소식지인 '에코 ESG 브릿지'를 분기별로 제작하여 공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Biz. Partner 대상의 '온라인 설명회'와 Weak Point에 대한 'One Point 코칭' 및 '현장지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지원을 위해 'ESG Help Desk'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구분 | 단위 | 2022년 | 2023년 |
---|---|---|---|
전체 Biz Partner 수 | 개사 | 1,610 | 1,776 |
핵심 Biz Partner 수 | 324 | 324 | |
ESG 평가 참여 Biz Partner 수 | 157 | 200 | |
집중 관리 대상 Biz Partner수 | 18 | 30 |
구분 | 단위 | 2022년 | 2023년 |
---|---|---|---|
개선 조치 이행 대상 Biz Partner 수 | 개사 | 18 | 30 |
개선 조치 이행 Biz Partner 수 | 18 | 30 | |
개선 조치 이행 비율 | % | 100 | 100 |